베트남 경제, 교역, ODA, 자원 등
베트남 관세청 통계, 단위는 백만불입니다. - 1. 휴대폰 및 관련 부품 - 2. 섬유 - 3. 전기전자- 4. 신발 - 5. 원유 - 6. 수산물- 7. 기계플랜트 - 8. 목제품 –9. 자동차부품- 10. 커피 - 11. 쌀 * 쌀(2위), 후추(1위), 커피(2위) 등의 세계적인 수출국 * 한국-베트남 교역 (한국 무역협회 통계)- 2014년: 303.2억불(수출 223.3억불, 수입 79.9억불)- 2013년: 282.7억불(수출 210.9억불, 수입 71.8억불)- 2012년: 216.7억불(수출 159.5억불, 수입 57.2억불)- 2011년: 186억불(수출 135억불, 수입 51억불)- 2010년: 129억불(수출 96억불, 수입 33억불) ㅇFDI: 2014년 누계 기준..
2015. 10. 19.
베트남 일반 통계 (2014년 기준)
I. 일반ㅇ인구: 9,500만명(인구증가율 1.06%, 출생률 2.09%)- 도시화율 34.5%, 35세 이하 60%, 평균연령 27세ㅇ크기(331,21km2) 및 길이(1650km) 모두 한반도의 1.5배ㅇ베트남항공 항공기 보유: 80대(2015년 112대 목표)ㅇ차량- 자동차: 약 200만대, 오토바이: 약 3,900만대- 교통사고: 2014년 25,322건 8,996명 사망(일평균 25명)ㅇ외국인 방문객: 2014년 787만명- 입국인원: 중국 195만, 한국 85만, 일본 65만- 한국방문 베트남인: 14만명(2014)ㅇ국제결혼: 1998-2014년간 40만명 여성 국제결혼- 한국: 6만여명- 중국/대만: 11만여명ㅇ베트남 체제 한인: 약 14만명(하노이 인근 4만, 호치민 인근 10만)ㅇ한국 체..
2015. 10. 19.
한국 - 베트남 FTA 자료
1. 한국 - 베트남 FTA 의의 및 주요내용 (관세인하,서비스,투자개방,규범등) 2. 한국 - 베트남 FTA 주요품목별 관세율 및 확인절차, 원산지 규정 및 통관 절차 3. FTA, TPP, AEC 등 변화되는 통상 환경과 대응 전략 - 베트남 진출 한국기업을 중심으로 이상이 첨부파일들의 주요내용입니다. 한국 - 베트남 FTA일반적인 양허 유형은 "Y-1"~"Y-15", "E" 형태이며 각 국가별로 다음의 양허 유형이 추가됩니다. 한국: "S-1", "B-1", "C", "R"베트남: "S-2", "S-3", "A", "B-2" 각 양허유형에 대한 설명은 협정2장 부속서에 규정되어 있습니다.관련 내용은 파일로 첨부 해둘테니 읽어보시고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참고로 "Y-#" - Y는 균등철폐로 숫자는 철..
2015. 10. 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