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파이웨어에 대해서 요즘은 많은 사람들이 알고 있죠.
스파이웨어의 위협이 한창일 때(요즘도 위험합니다만....)
가장 일반적으로 쓰였던 프로그램은 Ad-aware 와 같은 류의
프로그램이었습니다.
이런 프로그램을 가지고 정기적인 검색을 하고, 나온 검색결과에
따라서 처리를 하면 되지요...(지금도 마찬가지지만....)
요즘은 알약, V3 등의 바이러스 백신도 스파이웨어를 잘 잡습니다^^
여튼 '스파이웨어' 에 대해 간략히 설명드리면
(절대적인 정보는 아니며, 작성자의 주관적인 부분도 포함되어 있습니다.)
1. 유래 : 프로그램의 원제작자의 재미
(흥미, joke... 간혹, 저작권 이라는 또 다른 표현의 방법)라는 형식으로 시작되었습니다.
2. 특징 : 오리지널 소스 및 프로그램의 기능상, 구현에 있어서 문제를 야기시키지 않고,
정상가동 및 구현에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다는 것.
3. 예제 및 형태 : 초창기 알려진 스파이웨어는 한국의 경우 1990년대에 한참 개발에
박차를 가하던 한국 게임의 대명사라고 일컬어지는 롤플레잉 게임 쟝르 중,
창세기전, 악튜러스 등에서 개발자의 사진(이미지, 캐리커쳐)이 배경화면을 장식.
블리자드 사의 '디아블로'의 각각의 액트(1~5)동영상에도 스파이웨어가 포함이 되어 있었다고 합니다.
4. 변질 : 오리지널 프로그램의 제작자 의도와는 달리 버그수정 및 유통과정,
테스트의 과정에서 묻어오는 경우. 또는, 오리지널 프로그램 제작자의 의도적인 코드 추가.
(목적은 여러가지 입니다. 저작권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으로 사용되는 경우,
사용자의 정보나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목적, 불특정 다수인을 공격하기 위한 파괴의 목적.)
이상 간략히 기재해 봤습니다.
'스파이웨어'라는 개념이 현재와 같은 형태를 보이게 된 근본적 요인은,
근래에 들어 더더욱 심각해진, 해킹이나, 크래킹이 아니라는 것입니다.
자신의 프로그램을 보호하고, 단순한 유희를 제공하려던 부분이,
특정 소수인에 의해서 '변질'되었다는 것입니다.
특정 소수인의 목적은 아마도 그들에게 직접 물어봐야 답이 나올 듯 하군요.
'정보 情報' 카테고리의 다른 글
3번의 법칙, 불변의 법칙 !!! (0) | 2016.05.21 |
---|---|
동물들의 새끼들 우리말로는 어떤 이름으로 부를까요? (0) | 2016.05.20 |
다이어트에 효과 있는 토마토 쥬스 알고 계셨나요? (0) | 2016.05.14 |
이란에 대한 경제제재가 풀리면서... (0) | 2016.04.02 |
"단순 기침인 줄 알았는데…" 노인 결핵 급증 (0) | 2016.03.2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