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67년 7월 17일 미국 플로리다 주.
찌는 듯한 무더위로 에어컨 사용량이 급증했다.
순간 전력이 치솟자 전기 시스템에 과부화가 걸리며,
잭슨빌시 일대가 순간 정전되는 사태에 이르게 되었다.
전신주에 올라가 한창 수리를 하던
전기공사 직원 랜덜 챔피온.
그리고 철도파업 취재 차 이동하던
잭슨빌 저널 기자 로코 모라비또
그 순간, 4160볼트의 전기에 감정된 랜덜 챔피온,
로코 모라비토 기자가 카메라를 들었을 때 챔피언은
이미 정신을 잃고 안전벨트에 축 매달린 채 늘어져 있었다.
구급차를 불렀지만, 고압의 전류에 감전된 이상
더 이상의 희망은 존재할 수가 없었다.
그 때, 그 옆 전신주에서 일하던
동료 톰슨이 챔피언에게 달려갔다.
그리고 의식을 잃은 그에게 인공호흡을 하기 시작했다.
모라비토 기자는 절망의 순간을 사진에 담으면서도
끊임없이 '그가 살게 해달라며' 희망을 기도했다.
그 때 톰슨이 소리쳤다.
"그가 숨을 쉬어요."
이 사진으로 모라비토는 1968년 퓰리처상을 수상한다.
==========================================
언제 닥칠지 모르는 재난은
늘 감당할 수 없는 크기로 다가옵니다.
감당할 수 없는 상황과 마주한 사람들은
시도도 해보지 않고 그 상황을 쉽게 포기하곤 합니다.
가능성이 1%라도 존재하여 그 끈을 놓지 않는다면,
그 순간은 '절망'에서 '희망'으로
충분히 바뀔 수 있습니다.
1%의 가능성이라도 있다면 우리는 최선을 다해야 합니다.
하지만 저는 그렇지 못했네요...
절망에서 희망으로 바뀔 수 있는 순간을 저는 포기해버렸나봅니다.
매번 후회되는 일이 있다는 것은 너무 슬프기까지 하네요.
퓰리쳐 상을 받든 어떤 작품사진을 찍 건... 사진을 찍는 사람들을
저는 좋게 생각하지 않습니다. 자신은 도움을 줄 수 있으면서도
절체절명의 순간을 찍으려 방조하는 방관자들이라는 생각이 들기 때문입니다.
아마 그들의 사진을 본 사람들이라면 한번쯤은 그런 생각을
가져보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드네요.. 물론 아닌 분들도 있겠지만...
여튼 사진속의 인물들에 대해서는 다행이다. 그리고 존경스럽다는
생각이 듭니다.
'이슈, 트렌드 생각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한독립을 10년은 앞당기게 해준 일본의 장군 (0) | 2016.03.10 |
---|---|
자신을 위해 그리고 타인을 위해 명심하자구요^^ (0) | 2016.03.09 |
파타고니아 라는 아웃도어 브랜드를 아시나요? (0) | 2016.03.06 |
저질스러운 인간들에게 지배당하다... (0) | 2016.03.06 |
한국의 그지같은 특징이라는데... [격갤 펌] (0) | 2016.03.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