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 情報

원숭이 이성 붕괴 실험 도박에 빠진 사람...

by SUNG & SOL 2016. 1. 2.
반응형



サルを完全に破壊する実験って知ってる?


まずボタンを押すと必ず餌が出てくる箱をつくる。

それに気がついたサルはボタンを押して餌を出すようになる。

食べたい分だけ餌を出したら、その箱には興味を無くす。

腹が減ったら、また箱のところに戻ってくる。


ボタンを押しても、その箱から餌が全く出なくなると、サルはその箱に興味をなくす。


ところが、ボタンを押して、餌が出たり出なかったりするように設定すると、

サルは一生懸命そのボタンを押すようになる。


餌が出る確率をだんだん落としていく。

ボタンを押し続けるよりも、他の場所に行って餌を探したほうが効率が良いぐらいに、

餌が出る確率を落としても、サルは一生懸命ボタンを押し続けるそうだ。

そして、餌が出る確率を調整することで、

サルに、狂ったように一日中ボタンを押し続けさせることも可能だそうだ。



원숭이의 이성을 완전히 파괴하는 실험, 알고 있어?


우선 버튼을 누르면 먹이가 나오는 상자를 만든다.

그걸 깨달은 원숭이는 버튼을 눌러 먹이를 가져간다.

먹고 싶을만큼 먹이를 꺼내면, 그 상자에는 흥미를 잃는다.

배가 고프면 또 상자 곁으로 돌아온다.


버튼을 눌러도 그 상자에서 먹이가 전혀 안 나오게 되면, 원숭이는 그 상자에 흥미를 잃는다.


그런데 버튼을 눌렀을 때 먹이가 나오거나 나오지 않거나 어중간하게 설정하면,

원숭이는 열심히 그 버튼을 누르게 된다.


먹이가 나올 확률을 점점 떨어뜨린다.

버튼을 계속 누르는 것보다도 다른 장소에 가서 먹이를 찾는 편이 차라리 효율이 좋을 정도로

먹이가 나올 확률을 떨어뜨려도, 원숭이는 열심히 버튼을 계속 누른다고 한다.


그 후에는 먹이가 나올 확률을 조정하는 것만으로도

원숭이가 미친 것처럼 하루종일 버튼을 계속 누르는 것도 가능해진다고 한다.




뭔가 무섭지 않은가요? 사람들도 이렇게 길들여지고 있는 것은 아닐까요?

이것은 실제로 정신분석 관련해서 연구결과가 있는 동물실험이라고 합니다.

보상을 확률적으로 줄 때가 제일 효과가 좋고, 한번 중독이 되면 확률을 엄청나게 

낮춰도 계속 도전한다고 하는 결국 그 보상이 주어졌던 것을 확률적으로 경험하면

그것을 위한 같은 행동이 의미없이 지속된다는 것을 말하는 것 같습니다.


수주대토(守株待兎)가 바로 이것을 의미하는 것이겠지요...

도박에 빠진 사람들이 아주 좋은 비유가 될 듯 합니다.

이건 주의 정도로 기억해두시면 좋을 듯 하네요... 우리는 인간이니까요^^



반응형